본문 바로가기

파이썬99

백준 알고리즘 25501번(파이썬) 백준 25501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25501. 재귀의 귀재 정휘는 후배들이 재귀 함수를 잘 다루는 재귀의 귀재인지 알아보기 위해 재귀 함수와 관련된 문제를 출제하기로 했다. 팰린드롬이란, 앞에서부터 읽었을 때와 뒤에서부터 읽었을 때가 같은 문자열을 말한다. 팰린드롬의 예시로 AAA, ABBA, ABABA 등이 있고, 팰린드롬이 아닌 문자열의 예시로 ABCA, PALINDROME 등이 있다. 어떤 문자열이 팰린드롬인지 판별하는 문제는 재귀 함수를 이용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아래 코드의 isPalindrome 함수는 주어진 문자열이 팰린드롬이면 1, 팰린드롬이 아니면 0을 반환하는 함수다. def recursion(s, l, r): if l >= r: return 1 elif s[l] != s.. 2022. 10. 28.
백준 알고리즘 17478번(파이썬) 백준 17478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17478. 재귀함수가 뭔가요? 평소에 질문을 잘 받아주기로 유명한 중앙대학교의 JH 교수님은 학생들로부터 재귀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받아왔다. 매번 질문을 잘 받아주셨던 JH 교수님이지만 그는 중앙대학교가 자신과 맞는가에 대한 고민을 항상 해왔다. 중앙대학교와 자신의 길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 JH 교수님은 결국 중앙대학교를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떠나기 전까지도 제자들을 생각하셨던 JH 교수님은 재귀함수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학생들을 위한 작은 선물로 자동 응답 챗봇을 준비하기로 했다. JH 교수님이 만들 챗봇의 응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1) 입력 : 교수님이 출력을 원하는 재귀 횟수 N(1 ≤ N ≤ 50)이 주어진다. (2) 출.. 2022. 10. 27.
백준 알고리즘 10870번(파이썬) 백준 10870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10870. 피보나치수 5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입력 :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2) 출력 :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한다. 입력 .. 2022. 10. 26.
백준 알고리즘 10872번(파이썬) 백준 10872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10872. 팩토리얼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이때, N!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입력 : 첫째 줄에 정수 N(0 ≤ N ≤ 12)이 주어진다. (2) 출력 : 첫째 줄에 N!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출력 예시 10 3628800 0 1 A. 풀이 # Q 백준 10872. 팩토리얼 from math import factorial n = factorial(int(input())) print(n) 2022. 10. 25.
백준 알고리즘 9020번(파이썬) 백준 9020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9020. 골드바흐의 추측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가 없는 자연수를 소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5는 1과 5를 제외한 약수가 없기 때문에 소수이다. 하지만, 6은 6 = 2 × 3 이기 때문에 소수가 아니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유명한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를 골드바흐 수라고 한다. 또, 짝수를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표현을 그 수의 골드바흐 파티션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4 = 2 + 2, 6 = 3 + 3, 8 = 3 + 5, 10 = 5 + 5, 12 = 5 + 7, 14 = 3 + 11, 14 = 7 + 7이다.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 2022. 10. 24.
백준 알고리즘 4948번(파이썬) 백준 4948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4948. 베르트랑 공준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프가 1850년에 증명했다. 예를 들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4개가 있다. (11, 13, 17, 19) 또, 14보다 크고, 28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3개가 있다. (17,19, 23)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입력 :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케이스는 n을 포함하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의.. 2022. 10. 23.
백준 알고리즘 1929번(파이썬) 백준 1929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1929. 소수 구하기 M이상 N이하의 소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입력 :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2) 출력 : 한 줄에 하나씩, 증가하는 순서대로 소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출력 예시 3 16 3 5 7 11 13 A. 풀이 # Q 백준 1929. 소수 구하기 (시간초과) M, N = [int(x) for x in input().split(' ')] num_list = [x for x in range(M, N+1)] new_list = [] test = 0 for x in num_list: test.. 2022. 10. 22.
백준 알고리즘 11653번(파이썬) 백준 11653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11653. 소인수 분해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소인수분해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입력 : 첫째 줄에 정수 N (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2) 출력 : N의 소인수분해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N이 1인 경우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입력 예시 출력 예시 72 2 2 2 3 3 3 3 6 2 3 2 2 9991 97 103 A. 풀이 # Q 백준 11653. 소인수 분해 N = int(input()) i = 2 while i 2022. 10. 21.
백준 알고리즘 2581번(파이썬) 백준 2581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2581. 소수 자연수 M과 N이 주어질 때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골라 이들 소수의 합과 최솟값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M=60, N=100인 경우 60이상 100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는 61, 67, 71, 73, 79, 83, 89, 97 총 8개가 있으므로, 이들 소수의 합은 620이고, 최솟값은 61이 된다. (1) 입력 : 입력의 첫째 줄에 M이, 둘째 줄에 N이 주어진다. M과 N은 10,000이하의 자연수이며, M은 N보다 작거나 같다. (2) 출력 :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 단,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가 없을 경우.. 2022. 10. 20.
백준 알고리즘 1978번(파이썬) 백준 1978번_파이썬 알고리즘 Q. 백준 1978. 소수 찾기 주어진 수 N개 중에서 소수가 몇 개인지 찾아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입력 :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2) 출력 : 주어진 수들 중 소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출력 예시 4 1 3 5 7 3 A. 풀이 # Q 백준 1978. 소수 찾기 ★★ import sys N = int(input()) cnt = N num_lis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1, 3, 5, 7] for x in num_list: if x == 1: cnt -= 1 continue.. 2022. 10.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