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자료구조, 알고리즘2

알고리즘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_TIL#15 ■ JITHub 개발일지 15일차 □ TIL(Today I Learned) :: 자료구조, 알고리즘(트리, 힙, 그래프, DFS, BFS, Dynamic programming) 1. 파이썬 알고리즘 - 트리(Tree) : 계층형 비선형 자료 구조로 모습이 실제 가지가 달린 나무를 거꾸로 본 모습과 유사하여 '트리'라고 말한다. 방향성이 있고 부모 노드 아래에 여러 자식 노드가 연결되는 재귀적 형태의 자료구조이다. 이진 트리, 이진 탐색 트리, 균형 트리(AVL 트리, red-black 트리), 이진 힙(최대힙, 최소힙) 등 다양한 형태의 트리가 존재한다. (1) 이진트리(binary Tree) : 각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을 가지는 형태의 트리 자료구조 o Level 0 o o o Level 1 o .. 2022. 9. 20.
알고리즘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_TIL#14 ■ JITHub 개발일지 14일차 □ TIL(Today I Learned) :: 자료구조, 알고리즘(정렬, 스택, 큐, 해쉬) 1.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정렬(sort) : 데이터를 순서대로 나열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데이터 정렬을 통해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1) 버블 정렬(bubble sort) :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인접한 2개의 레코드를 비교하고, 차순에 따라 정렬한다. (첫 번째 자료와 두 번째 자료를 비교하고, 두번째 자료와 세번째 자료를 비교하는 식으로 자료를 비교하고 교환하는 수순으로 정렬하는 방식) (2) 선택 정렬(selection sort) : 제자리 정렬 알고리즘의 하나로, 주어진 리스트 중 최소값을 찾.. 2022. 9. 20.
반응형